서론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국은행 기준금리 결정에 따른 향후 투자방향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미국의 연이은 금리 상승으로 인해 한국은행의 금리도 계속 올라왔습니다. 최근 미국이 4월 1일에 또 0.25% 포인트 금리를 상승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도 금리를 또 올릴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일단 결론은 다행히 동결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합니다. 아직 확실하게 나온 결정은 아니지만 어떤 형태로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면서 최종 제 견해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본론
2023년 4월 금융통화위원회는 금리가 동결 될 것이 유력
시장에서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미국이 계속하여 금리를 올렸던 것은 소비자 물가가 계속 올라가는 것을 막기 위함이었습니다. 한국의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2022년 7월에 6.3%까지 올랐으나, 올해 3월 4.2%까지 내려갔습니다. 물가상승률이 어느 정도 잡히고 있어 아마 금리 인상을 더 이상 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미국과 한국의 기준 금리 격차는?
현재 미국과 한국의 기준 금리의 격차는 1.5%포인트입니다. 미국이 현재 5.0% 포인트, 한국이 3.5% 포인트입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미국의 현재 5.0% 포인트는 너무 금리가 높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인지 한국은행도 마냥 미국의 기준 금리를 따라가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하지만 긴장을 풀어서는 안될 것이 미국은 추가 금리 인상도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 미국이 0.25포인트 상승을 하고 한국이 동결을 하게 되면 1.75%까지 기준금리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투자 방향은?
계속 오르던 금리도 올해 1월과 2월을 기점으로 동결이 되어가는 것으로 보입니다. 금리를 짧은 시간 안에 너무 많이 올렸습니다. 1년 만에 2.25% 포인트를 올렸습니다. 주담대를 하고 있는 사람의 경우 정말 부담스러운 상황을 겪었습니다. 하지만 올해 1월, 2월 미국이 금리를 올렸음에도 금리가 동결이 되었습니다. 현재 금리는 더 이상 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리에 따라 투자자의 방향은 매우 달라지게 되어있습니다. 저는 현재부터 국내 주식부터 투자를 할 계획입니다. 금리가 동결된 이후 금리가 낮아지면서 가치가 있는 주식은 크게 상승할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미국의 금리를 계속 모니터링하여 비트코인에 어떻게 투자할 것인지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생각해야 될 것은 역시 국내 금리 최종 발표 및 미국 금리 최종 발표가 가장 중요하겠습니다.
맺음글
아직까지 금리가 많이 높습니다. 대출을 받아 투자하기에는 대출이자가 매우 부담스럽습니다. 늘 그렇듯 투자의 현금비율을 높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한국은행이 기준 금리 동결을 확정지으면 3개월간 금리 상승이 없는 것입니다. 이때 미래 가치를 생각한 국내 주식에 투자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더 좋은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눈, 사마귀에는 신신 티눈밴드 사용기 (0) | 2023.04.14 |
---|---|
다른 병으로 오해받기 쉬운 경추 척수증 (1) | 2023.04.12 |
자비스 에어펌프 목베개 리뷰 (0) | 2023.04.09 |
애드센스 승인 거절 이유 1화 (feat. 구글 SEO) (0) | 2023.04.08 |
티스토리 글 80여개 쓴 입장에서 구글 블로거 후기 (feat. 블로그스팟) (0) | 2023.04.07 |
댓글